stella rium의 다운로드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성 글 학습 목적으로 제작된 프로그램이라 하는데, 별을 보기 힘든 도심 생활에서 별을 보고 싶을 때 한 번쯤 실행을 해보는 것도 괜찮은 듯해요. 물론 어두운 곳을 찾아가서 진짜 하늘을 보는 것과는 느낌이 다르지만, 그래도 stellarium가 있으면 별자를 확실히 확인할 수 있죠. 사용 목적이야 어떻든 쓰고 싶다면 다운로드를 할 수 있어야 하는데, 공식 홈페이지를 활용해서 깔끔하게 구하는 방법을 안내하기 위한 글을 아래 적었으니,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고급 정보를 공유하는 글은 아니지만, 툴은 무난하게 받을 수 있을 거예요. stellarium 다운로드 안내 홈페이지 주소는 그냥 프로그램 이름 뒤에 [.org]를 붙이면 됩니다. 엄청 쉽죠? 그래..
파워포인트에 폰트를 추가하고 ppt에 글씨체를 저장할 때 필요한 정보 안내 아무래도 운영체제를 설치할 때 준비되어 있는 기본적인 글꼴만 활용하면, 내가 원하는 모양이나 콘셉트의 슬라이드를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죠? 그래서 별도로 글꼴을 받으려는 경우가 엄청나게 많은데, 당연히 파워포인트 폰트 추가를 할 수 있어야 사용도 가능해요. 거창하게 얘기를 했지만 ppt 폰트 추가를 하는 과정은 간단합니다. 다만, 다른 PC에서 글씨체가 깨지는 상황이 없으려면, 문서에 함께 저장해주는 과정도 알아두는 것이 좋아요. 그래서 두 가지 정보를 함께 엮어서 아래 정리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글씨를 PC와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
곰플레이어에서 싱크의 소리와 자막을 맞추기를 해주는 단축키 안내 미디어 파일을 실행했는데, 텍스트나 사운드가 묘하게 엇박자를 즐기고 있다면, 번거롭게 인코딩을 해줄 필요가 없어요. 요즘에는 재생 프로그램이 똑똑해서 자체 기능으로 조절을 해줄 수 있기 때문이죠. 물론 곰플레이어 싱크를 맞춰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다만 기능 사용 과정 정도는 알아두는 것이 좋겠죠? 그래서 곰플레이어 소리 싱크와 자막 맞추기를 해주는 과정을 적어봤습니다. 자막을 맞추는 과정부터 얘기해보자면, 키보드의 를 눌러주면 됩니다. 그럼 0.5초 단위로 싱크가 조절될 거예요. 적절한 수준으로 곰플레이어 자막 싱크를 조절한 뒤에는 [Alt + S]를 눌러서 저장해주세요. 그럼 다음에 같은 파일을 실행했을 때 또다시 조절할 필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