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이 레포트를 작성할때 혹은 직장인들이 각종 업무서류를 만들때 있어서 사용을 하는 한가지 바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각종 소프트웨어들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많이들 사용을 하는 한가지가 있다고 한다면 바로 ms office가 아닐까 생각을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 이것 말고도 많은 분들이 사용을 하는 한가지가 있으니 바로 한글이 아닐까 생각을 합니다. 거의 뭐 비슷하지 않나라는 생각을 하는데 좌우지간 오늘은 가장 기본적인 활용방법이라고 할 수가 있는 한글2010 그림넣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문서라고 해서 그냥 글자만 들어가는 것은 아닌 때로는 각종 차트나 이미지 등을 함께 삽입을 함으로써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내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좀 더 효과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학적 계산과 통계적 처리에 상당한 효율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바로 엑셀인데 평소에 자주 다룬다면 상관이 없지만 한 번의 근무기간 계산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수식을 만드는 과정이 복잡할 수 있고 엑셀 자체가 없어서 작업을 못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얼마나 근무를 했는지 날짜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일 땐 다른 툴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수 있죠. 근무기간 계산을 엑셀 수식 없이 확인하는 방법 깔끔하게 핵심부터 얘기를 하자면 근무기간의 체크를 하고 싶을 땐 모든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준비되어 있는 계산기를 활용하면 됩니다. 고로 해당 툴을 실행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해주어야 할 작업이죠. 그리고 키보드에서 ‘Ctrl + E’를 누르거나 좌측 상단에 있는 보기 메뉴를 클릭하고 하위 메뉴를 살펴보면 날짜 계산이..
듣기 공부를 하거나 마음에 드는 곡이 있어서 반복적으로 재생을 하고 싶은데 하필 반복해야 할 미디어가 유튜브에 있는 상황이라면 repeat 기능을 활용하면 됩니다. 조금 더 정확하게 얘기를 하자면 반복재생 기능이 있는 페이지에서 유튜브의 동영상을 불러오는 것인데 혹시 관련 도구를 원하고 있었던 분들이라면 아래 도구를 다루는 방법을 정리해두었으니 읽어보시고 적용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유튜브 repeat 웹 도구 사용하기 자체 기능 활용 서두에서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도구를 활용하면 repeat를 활용할 수 있다고 했지만 사실 유튜브의 플레이어가 자체적으로 반복 재생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가장 다루기 쉬운 기능이니 자체적인 기능부터 먼저 얘기를 하자면 일단 연속 재생을 하고 싶은 동영상을 켭니다..